1️⃣ 문제

문제 - 최솟값 만들기

문제 설명

길이가 같은 배열 A, B 두개가 있습니다. 각 배열은 자연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배열 A, B에서 각각 한 개의 숫자를 뽑아 두 수를 곱합니다. 이러한 과정을 배열의 길이만큼 반복하며, 두 수를 곱한 값을 누적하여 더합니다. 이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값이 최소가 되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. (단, 각 배열에서 k번째 숫자를 뽑았다면 다음에 k번째 숫자는 다시 뽑을 수 없습니다.)

예를 들어 A = [1, 4, 2] , B = [5, 4, 4] 라면

  • A에서 첫번째 숫자인 1, B에서 첫번째 숫자인 5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. (누적된 값 : 0 + 5(1x5) = 5)
  • A에서 두번째 숫자인 4, B에서 세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. (누적된 값 : 5 + 16(4x4) = 21)
  • A에서 세번째 숫자인 2, B에서 두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. (누적된 값 : 21 + 8(2x4) = 29)

즉, 이 경우가 최소가 되므로 29를 return 합니다.

배열 A, B가 주어질 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최솟값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

제한사항
  • 배열 A, B의 크기 : 1,000 이하의 자연수
  • 배열 A, B의 원소의 크기 : 1,000 이하의 자연수
입출력 예
A B answer
[1, 4, 2] [5, 4, 4] 29
[1,2] [3,4] 10

2️⃣ 풀이 방법 및 코드

처음에는 두 배열의 짝을 지을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다 구한 후 누적된 값들 중 최솟값을 리턴하려고 했었다.

방문했는지 여부 및 방문하면서 cost도 비교하며 최소한의 백트래킹을 구현하기 위해 애썼지만…….. 시간초과 ( ꈨຶ ˙̫̮ ꈨຶ )

사실 이 문제는 아래 설명처럼 수학적으로 조금만 생각하면 떠올릴 수 있는데, 내가 너무 기존에 풀이해왔던 방식으로만 풀려했던 점이 문제였다.

(앞으로는 다양한 유형 골고루 풀어 견문을 넓히자!)

풀이 방법

KEY POINT: 가장 큰 수와 가장 작은 수를 곱해야 비교적 작은 숫자들이 누적된다.
1. A를 오름차순, B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.
2. 정렬된 두 배열의 원소들을 차례대로 곱하고 더해주기만 하면 끝!

소스 코드

zip과 reduce를 이용한 함수 프로그래밍으로 쉽게 구현가능!!

import Foundation

func solution(_ A:[Int], _ B:[Int]) -> Int { 
    return zip(A.sorted(), B.sorted(by: >)).reduce(0) { $0 + ($1.0 * $1.1) }
}